Oral Biol Res 2023; 47(1): 8-14  https://doi.org/10.21851/obr.47.01.202303.8
Patient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occlusal adjustment using a visual analog scale
Ha-Rim Lee1† , Sun-Haeng Lee1† , and Gyeong-Je Lee2*
1Ph.D. Student,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Gwangju, Republic of Korea
2Professor,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Gwangju,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Gyeong-Je Le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303 Pilmun-daero, Dong-gu, Gwangju 61452, Republic of Korea.
Tel: +82-62-220-3827, Fax: +82-62-232-7776, E-mail: lkj1998@chosun.ac.k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Received: March 2, 2023; Revised: March 6, 2023; Accepted: March 6, 2023;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3.
© Oral Biology Research.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ost desirable method of occlusal adjustment in patients with occlusal trauma due to occlusal interference by their natural teeth and propose further considerations for occlusal adjustment. Among patients with occlusal interference of natural teeth and resulting occlusal trauma, occlusal adjustment was performed for 71 patients, a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ssess the discomfort experienced by the patients before and during treatment.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tients. The patient’s discomfort before treatment was first examined, and satisfaction after treatment was investigated using the same survey. The questionnaire survey revealed that patients were concerned about the noise and process of the treatment before occlusal adjustment; however, following the treatment, noise was the primary discomfort. Before treatment, women exhibited higher treatment-related anxiety than men; however, no such sex-related difference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Furthermore, both sexes considered the noise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to cause maximum discomfort, and patients in both the treatment groups assigned high scores for the necessity of occlusal adjustment, sufficient relevan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patients to minimize treatment-related anxiety. Moreover, noise management can help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Keywords: Dental occlusion; Occlusal adjustment; Traumatic dental occlusion; Visual analog scale
Introduction

치아는 매우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가지며, 이 치아들은 인접한 치아들과 접촉을 통해 치열(dentition)을 형성한다. 상악과 하악의 치열은 저작이나 발음 등의 다양한 운동을 통해 접촉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교합력(occlusal force)이 발생하게 되고, 이 교합력의 문제가 발생 시 치아 접촉의 조화가 무너지게 되어 교합접촉의 이상, 즉 교합간섭이 발생되게 된다[1,2]. 교합간섭(occlusal interference)은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교합접촉을 방해하는 교합접촉을 의미한다[3]. 이러한 교합접촉의 이상으로 치아의 접촉관계에 이상이 발생하면 여러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치아의 진동감(fremitus), 동요, 교모, 파절, 온도에 민감성 증가, 저작 불편감, 치주인대 비후, 치근흡수 및 백악질 박리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4]. 교합외상의 치료방법으로는 해당 치아 발거, 보철수복, 교정치료, 장치, 교합조정 등이 있다[5]. 그 중 교합조정(occlusal adjustment 또는 selective grinding)은 치아의 교합면을 정밀하게 변화시켜 전체적인 치아 접촉형태를 개선시키는 것으로[6], 적은 비용과 짧은 진료 시간, 치아 보존 등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교합조정은 작은 양이지만 치아를 삭제해야 한다는 점에서 술자 및 환자가 부담은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인해 교합외상에 이환된 치아가 적절한 시기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해 발거에 이르는 경우도 많다[7].

본 연구의 목적은 교합외상에 이환되어 교합조정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환자가 교합조정에 대하여 예측하는 불편감과 실제 교합조정 후의 불편감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합조정 시 사용한 절삭기구에 따른 만족도를 조사하여 환자에게 보다 편안한 교합조정술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연구 대상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자연치의 교합간섭으로 인한 교합외상의 교합조정 및 실험참여에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합외상에 이환된 환자의 기준은 교합조정을 시행하고, 교합조정 시행 전과 후의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CUDH IRB 1802 003)을 받은 후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

교합조정술식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진동, 치아 시림, 소음, 치과기구에 의한 압박감, 치과치료에 관한 막연한 두려움, 진료시간에 따른 불편감 등을 술식 전, 후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하였다. 교합조정 술식에 대한 설명 후 동의서 작성 시 VAS (visual analog scale)를 이용한 설문지로 교합조정 시의 예상되는 통증이나 불편감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에 동의한 총 71명(남37명, 여34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Fig. 1). 실험에 참여한 환자의 연령대는 20대 2명, 30대 1명, 40대 11명, 50대 20명, 60대 23명, 70대 12명, 80대 2명으로 50–60대의 비율이 높았다. 교합간섭으로 인한 교합외상을 보이는 치아 100개 중 상악치아가 61개(61%), 하악치아가 39개(39%)로 상악치아가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환자에 따라 단일 치아 또는 다수 치아에서 교합외상을 보였다.

Fig. 1.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실험군 분류

대상자를 교합조정 술식에 따라 두 그룹으로 임의로 분류하였다. 고속 절삭기구(high speed handpiece)를 사용하는 H group과 저속 절삭기구(low speed handpiece)를 사용하는 L group으로 나누어 교합조정을 시행하였다(Table 1).

Handpiece and tools used in this study

Instruments H group L group
Handpiece High speed handpiece Low speed handpiece
J Morita Twin Power/4HUMX (Morita, Tokyo, Japan) WG-56LT (W&H, Bürmoos, Austria)
Grinding tool Diamond bur Fine stone
F0-27 (MANI, Tokyo, Japan) CA-FL3 (SHOFU, Kyoto, Japan)
Occlusal articulating film AccuFilm (Parkell, Inc., Edgewood, NY, USA),
Finishing & polishing tool Enhance (Dentsply Sirona, Charlotte, NC, USA)

H group, high speed handpiece group; L group, low speed handpiece group.



통계 분석

데이터 분포 정규성을 설정하기 위해서 Shapiro-Wilk test를 시행하였다. 비교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모수 검정방법인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통계 소프트웨어인 PASW Statistics 18, Release Version 18.0.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Results

교합외상으로 인한 교합조정이 필요한 환자에게 시술 전 설문조사를 한 결과, 교합조정 전 환자가 예상하는 가장 불편한 요소는 ‘치과치료에 관한 막연한 두려움’, ‘치과기구에 대한 압박감’, ‘소음’, ‘치아 시림’, ‘진동’, ‘진료시간’, ‘예상통증’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치과치료에 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장 불편한 요소로 답변하였다(Table 2). 그러나 실제 교합조정 후 환자가 느낀 가장 불편한 요소는 고속 절삭기구를 사용하는 H group과 저속 절삭기구를 사용하는 L group 모두 ‘소음’이라고 답하였다(Table 3).

Anticipated inconveniences before the occlusal adjustment

Questionnaire items H group+L group
(mean±SD)
Vague fear for dental treatment 5.50±2.86
Tooth compression from dental equipment 5.29±2.92
Noise from dental equipment 5.03±2.68
Tooth hypersensitivity 4.96±2.80
Vibration 4.91±2.64
Time consuming for dental treatment 4.81±2.79
Anticipated pain 4.21±2.69

H group, high speed handpiece group; L group, low speed handpiece group; SD, standard deviation.



Inconveniences after the occlusal adjustment

Questionnaire items H group
(mean±SD)
L group
(mean±SD)
Fear during treatment 1.57±1.41 2.83±2.65
Tooth compression from dental equipment 1.47±0.90 3.00±2.40
Noise from dental equipment 2.13±1.50 3.15±2.28
Tooth hypersensitivity 1.60±1.52 2.41±2.28
Vibration 1.83±1.44 2.49±1.91
Time consuming for dental treatment 0.70±0.84 2.02±2.01
Anticipated pain 0.97±1.19 1.76±1.61

H group, high speed handpiece group; L group, low speed handpiece group; SD, standard deviation.



교합조정 전에는 남자는 ‘소음’을, 여자는 ‘치과치료에 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장 불편한 요소로 뽑았다. 교합조정 전에 예상되는 불편한 요소인 ‘치과치료에 관한 막연한 두려움’은 여자(6.41±2.66)에서 남자(4.68±2.8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치아가 있었다(p=0.010). 실제 교합조정 후에는 남녀 모두 ‘소음’을 가장 불편한 요소로 뽑았다. 그러나 남녀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Fig. 2).

Fig. 2. Difference between sex for anticipated inconveniences before and after the occlusal adjustment (OA). MB, male before OA; MA, male after OA; FB, female before OA; FA, female after OA.

교합조정 후의 조사에서 교합조정을 시행한 해당 치아에 대한 통증과 치아 동요도는 고속 절삭기구를 사용하는 H group에서 저속 절삭기구를 사용하는 L group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able 4).

VAS value about pain and tooth moving sensation during the occlusal adjustment

Questionnaire items H group (mean±SD) L group (mean±SD) p-value
Pain during treatment 0.51±1.01 1.22±1.49 0.042*
Tooth moving during treatment 1.47±0.90 3.00±2.40 0.009*

H group, high speed handpiece group; L group, low speed handpiece group; S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교합조정 후 해당 치료가 치아의 보존이나 저작의 불편감 감소를 위해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 고속 절삭기구를 사용하는 H group과 저속 절삭기구를 사용하는 L group 모두 높은 점수를 답변하였다(Table 5).

VAS values about the question: ‘Is occlusal adjustment necessary to preserve teeth?’ and ‘Would you recommend occlusal adjustment to other people?’

Questionnaire items H group (mean±SD) L group (mean±SD) p-value
Is the occlusal adjustment necessary to preserve teeth? 9.23±1.22 9.17±1.32 0.83
Would you recommend the occlusal adjustment to other people? 9.03±01.35 8.88±1.72 0.683

H group, high speed handpiece group; L group, low speed handpiece group; SD, standard deviation.


Discussion

치과 내원 환자의 경우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불안감을 가지고 내원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불안감을 미리 파악해서 이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나, 합리적인 치료방법을 찾는 것은 성공적인 치과치료의 중요한 요소이다. Armfield와 Heaton [8]은 미국 및 영국에서 치과 환자들의 불안감에 대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치과 내원환자의 36%–48%가 불안감을 느끼며, 이러한 불안감은 치과치료를 피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8]. 본 연구에서는 교합조정이라는 특정 치과치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를 통해 치과치료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에 대해 조사하여 보다 편안하고 만족도 높은 치료의 기준을 찾고자 하였다.

치과 내원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은 다양하며, 치과의사는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치료 술식별로 환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통해 치료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환자가 느낄 수 있는 통증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비들에 의해 생기는 진동, 소리, 냄새 등의 기계적인 자극으로 인한 통증, 치과치료 중 치아 또는 주변 조직에 생기는 상처나 부상으로 인한 통증, 마취 등의 감각적 자극에 의한 통증 그리고 진료에 대한 불안, 두려움 등의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통증이 있다. 이러한 불편감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설문조사, visual analog scale (VAS) 등의 주관적인 측정방법과 뇌파나 심박수 등의 생리학적인 반응을 측정하는 기술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치과치료에 관한 환자의 불편감을 측정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9-12]. 그 중 VAS를 사용하는 방법은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통증 측정 방법의 하나로 보통 0에서 10 사이의 선상에 표시된 숫자를 사용하여 통증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평가가 빠르고, 신뢰성과 정확성이 높을 뿐 아니라 대상의 연령이나 성별 등의 특성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통증 측정 방법이다[10].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불편감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VAS를 이용하였다.

Vassend [13]는 치과치료 중 불안, 통증, 불편과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완화시키기 위한 치과치료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고 다양한 요인들이 치과 내원 환자의 불안, 통증, 불편을 촉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예를 들어, 진료 전에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 환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기 쉽다고 하였다. 또한, 치과의사의 전문성이나 의사 소통 능력의 부족, 치료 중 생기는 소리, 냄새, 진동 등의 감각적 자극, 그리고 치과 기계나 치료 방법 등도 환자의 불안, 통증, 불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치료법도 제시하였는데 의사와의 충분한 의사 소통, 환자 교육과 설명, 치료 중의 진동과 소리를 최소화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마취 및 진통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는 것 등이 있었다[13]. 본 연구에서는 교합조정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설문 조사를 통해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의 종류를 파악하고 보다 편안한 교합조정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Lin 등[14]은 치과치료에서 불안과 통증 간의 관계를 조사한 논문에서 치과치료 중 불안이 높은 환자들은 비교적 더 많은 통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증과 불안 모두를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교합조정 전 환자는 ‘막연한 두려움’을 가장 큰 불편감으로 예상하였으나, 실제 교합조정 후에는 ‘소음’이 가장 큰 불편이라고 답변하였다. 이를 통해 치과 내원 환자는 실제 치료하기 전에는 아직 경험해 보지 못한 치과치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치과치료 전 충분한 설명을 통해 환자의 불안감을 제거할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합조정 후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은 ‘소음’이 가장 크다고 조사되었다. 치과진료실은 그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많은 소음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치과치료 시 발생하는 소음이 환자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과도한 소음 수준은 환자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증가시켜 심박수와 혈압 증가, 통증 내성 감소, 면역 기능 저하 등 생리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15]. 이를 통해 교합조정 시 환자가 느끼는 과도한 소음이 환자의 치료에 대한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치과에서는 가능한 한 소음을 줄이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Maggirias와 Locker [16]는 치과치료와 관련된 통증의 인지적 요인들과 인지평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불안, 공포, 불쾌 등이 치과치료 중에 환자들이 느끼는 주요 심리적 요인들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통증 지각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요인들을 관리하는 것이 치과치료 중에 환자들의 통증 관리와 진료 결과 개선에 유익하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VSA를 통한 설문 조사에서 교합조정치료 전에는 모든 항목에서 치료로 인해 예상되는 불편감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실제 교합조정 후에는 겪었던 불편감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환자의 치과치료 전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높은 불안감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Hallmon [5]은 교합외상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다양한 치료 전략 및 치료 방법에 대한 고찰하였는데, 다양한 치료 방법을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 전략임을 강조하였다. 그 중 교합조정을 중요한 치료 방법으로 인정하며, 교합조정이 교합외상 및 치주질환 등 다양한 치과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고 제시하였다[5]. 작은 양이지만 자연치의 교합면의 형태를 변형시킨다는 점에서 교합조정은 비가역적인 처치이며, 이에 대해 술 전에 환자에게 술식에 대한 충분한 설명 및 환자의 동의가 필요하다[17]. 본 연구에서는 교합조정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사전에 해당 술식에 대한 충분한 설명 및 동의를 구하였으며, VAS를 이용한 사전 설문 조사 및 사후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교합조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치과용 고속 절삭기구와 다이아몬드 스톤을 사용한 군과 치과용 저속 절삭기구와 절삭용 스톤을 사용한 군으로 나누어 불편감을 측정하였다. 고속 절삭기구의 경우, 높은 절삭 효율과 빠른 속도로 고정성 국소의치나 치아와동 형성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 진동, 소음, 열 그리고 치아와 버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냄새 등의 단점이 보고되고 있다[18]. 반면 저속 절삭기구의 경우, 낮은 열 발생과 보다 보존적이고 부드러운 치아절삭이 가능하고, 낮은 소음으로 고정성 국소의치를 위한 치아 삭제의 마무리나 치아 와동형성 후 마무리 단계에서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19]. 본 연구에서는 교합조정 시 고속 절삭기구와 저속 절삭기구의 사용에 따른 환자의 불편감을 비교하였는데, 모든 군에서 교합조정의 만족도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의를 하였으나, 두 그룹 모두에서 소음을 가장 큰 불편감으로 보고하였다(Table 3). 이는 고속 절삭기구의 경우 큰 소음이 환자에게 불편감을 야기하는 반면 저속 절삭기구의 경우 작은 소음을 야기하여 환자가 보다 편안해 한다는 이전의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20,21]. 이는 교합조정이라는 치과치료로 국한된 실험환경과 제한된 샘플 수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22].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가 높을수록 환자는 치과치료에 대한 통증을 더욱 높게 느끼기 때문에 치과치료에 대한 거부감이 높아진다고도 보고되고 있다[23,24]. 본 연구에서는 시술 전에 남자 환자에 비해 여자 환자에게서 유의하게 높은 두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2). 그러나 실제 교합조정 후에는 ‘교합조정에 대한 두려움’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교합조정에 대한 사전 설명 및 동의 시 치과치료에 대한 더 큰 두려움이 있는 여성 환자에서 보다 세심한 설명을 통해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합조정 후에는 남녀 환자 모두에서 교합조정이 치아의 보존을 위해 필요한 치료라는 것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여 교합조정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뿐만 아니라 높은 비율로 교합조정치료를 필요한 경우 다른 사람들에게 권유해 줄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이는 교합조정이 술 전에는 어느 정도의 두려움과 긴장을 야기하는 진료이지만, 실제 시술 후에는 큰 불편감이 없는 치료임을 보여주는 결과로 교합조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통해 환자의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시키고, 실제 진료에는 소음에 대한 관리를 통해 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 모집한 실험군의 숫자가 불충분하여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를 보완한다면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교합조정 전, 환자가 예상하는 가장 불편한 요소는 치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교합조정치료를 받은 후에는 ‘소음’을 가장 불편한 요소로 뽑았다. 여자가 남자에 비해 교합조정에 대한 더 높은 불안감을 보였다. 고속 절삭기구를 사용한 경우와 저속 절삭기구를 사용한 경우 모두 교합조정에 대한 불편감의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교합조정을 받은 환자들은 대체로 교합조정이 치아의 보존을 위해 필요한 진료이며, 이를 주변인에게 추천할 만한 치료라고 대답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Funding

이 논문은 조선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2021년도).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mpeting interests.

References
  1. Wilding RJ. The association between chewing efficiency and occlusal contact area in man. Arch Oral Biol 1993;38:589-596. doi: 10.1016/0003-9969(93)90124-5.
    Pubmed CrossRef
  2. Clark GT, Tsukiyama Y, Baba K, Watanabe T. Sixty-eight years of experimental occlusal interference studies: what have we learned? J Prosthet Dent 1999;82:704-713. doi: 10.1016/s0022-3913(99)70012-0.
    Pubmed CrossRef
  3. The glossary of prosthodontic terms: ninth edition. J Prosthet Dent 2017;117(5S):e1-e105. doi: 10.1016/j.prosdent.2016.12.001.
    CrossRef
  4. Fan J, Caton JG. Occlusal trauma and excessive occlusal forces: narrative review, case definitions, and diagnostic considerations. J Periodontol 2018;89 Suppl 1:S214-S222. doi: 10.1002/JPER.16-0581.
    Pubmed CrossRef
  5. Hallmon WW. Occlusal trauma: effect and impact on the periodontium. Ann Periodontol 1999;4:102-108. doi: 10.1902/annals.1999.4.1.102.
    Pubmed CrossRef
  6.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8th ed. Mosby; 2019.
  7. Hull PS, Worthington HV, Clerehugh V, Tsirba R, Davies RM, Clarkson JE. The reasons for tooth extractions in adults and their validation. J Dent 1997;25:233-237. doi: 10.1016/s0300-5712(96)00029-2.
    Pubmed CrossRef
  8. Armfield JM, Heaton LJ. Management of fear and anxiety in the dental clinic: a review. Aust Dent J 2013;58:390-407. doi: 10.1111/adj.12118.
    Pubmed CrossRef
  9. Caltabiano ML, Croker F, Page L, Sklavos A, Spiteri J, Hanrahan L, Choi R. Dental anxiety in patients attending a student dental clinic. BMC Oral Health 2018;18:48. doi: 10.1186/s12903-018-0507-5.
    Pubmed KoreaMed CrossRef
  10. Grossman SA, Sheidler VR, McGuire DB, Geer C, Santor D, Piantadosi S. A comparison of the Hopkins pain rating instrument with standard visual analogue and verbal descriptor scales in patients with cancer pain. J Pain Symptom Manage 1992;7:196-203. doi: 10.1016/0885-3924(92)90075-s.
    Pubmed CrossRef
  11. Laureys S, Faymonville ME, Peigneux P, Damas P, Lambermont B, Del Fiore G, Degueldre C, Aerts J, Luxen A, Franck G, Lamy M, Moonen G, Maquet P. Cortical processing of noxious somatosensory stimuli in the persistent vegetative state. Neuroimage 2002;17:732-741.
    Pubmed CrossRef
  12. Le SH, Tonami K, Umemori S, Nguyen LT, Ngo LT, Mataki S. The potential of heart rate variability for exploring dental anxiety in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8;47:809-815. doi: 10.1016/j.ijom.2018.01.019.
    Pubmed CrossRef
  13. Vassend O. Anxiety, pain and discomfort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Behav Res Ther 1993;31:659-666. doi: 10.1016/0005-7967(93)90119-f.
    Pubmed CrossRef
  14. Lin CS, Wu SY, Yi CA. Association between anxiety and pain in dental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Dent Res 2017;96:153-162. doi: 10.1177/0022034516678168.
    Pubmed CrossRef
  15. Antoniadou M, Tziovara P, Antoniadou C. The effect of sound in the dental office: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quality assurance-a narrative review. Dent J (Basel) 2022;10:228. doi: 10.3390/dj10120228.
    Pubmed KoreaMed CrossRef
  16. Maggirias J, Locker D. Psychological factors and perceptions of pain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2;30:151-159. doi: 10.1034/j.1600-0528.2002.300209.x.
    Pubmed CrossRef
  17. Koh H, Robinson PG. Occlusal adjustmen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3;1:CD003812. doi: 10.1002/14651858.CD003812.
    CrossRef
  18. Farah RI. Effect of cooling water temperature on the temperature changes in pulp chamber and at handpiece head during high-speed tooth preparation. Restor Dent Endod 2018;44:e3. doi: 10.5395/rde.2019.44.e3.
    Pubmed KoreaMed CrossRef
  19. Watson TF, Flanagan D, Stone DG. High and low torque handpieces: cutting dynamics, enamel cracking and tooth temperature. Br Dent J 2000;188:680-686. doi: 10.1038/sj.bdj.4800576.
    Pubmed CrossRef
  20. Bahannan S, el-Hamid AA, Bahnassy A. Noise level of dental handpieces and laboratory engines. J Prosthet Dent 1993;70:356-360. doi: 10.1016/0022-3913(93)90222-a.
    Pubmed CrossRef
  21. Amine M, Aljalil Z, Redwane A, Delfag I, Lahby I, Bennani A. Assessment of noise levels of equipment used in the practical dental teaching activities. Int J Dent 2021;2021:6642560. doi: 10.1155/2021/6642560.
    Pubmed KoreaMed CrossRef
  22. Firat D, Tunc EP, Sar V. Dental anxiety among adults in Turkey. J Contemp Dent Pract 2006;7:75-82.
    Pubmed CrossRef
  23. Schuller AA, Willumsen T, Holst D. Are there differences in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 between individuals with high and low dental fear?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3;31:116-121. doi: 10.1034/j.1600-0528.2003.00026.x.
    Pubmed CrossRef
  24. Armfield J. The avoidance and delaying of dental visits in Australia. Aust Dent J 2012;57:243-247. doi: 10.1111/j.1834-7819.2012.01697.x.
    Pubmed CrossRef


This Article


Funding Information

Services
Social Network Service

e-submission

Archives